남성과 여성

왜 한국에서 성매매는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나

유 진 정 2025. 9. 23. 20:22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930745

 

“성매매, 한국 이미지 심각하게 실추”… 주라오스 대사관, 공개 경고

주라오스 대한민국 대사관이 라오스에 방문하거나 체류하는 한국인들을 향해 성매매를 하지 말라고 공식 경고했다. 주라오스 대사관은 지난 18일 ‘라오스 내 성매매 금지’ 공지사항을 통해

n.news.naver.com

 

2017년 방콕에서 귀국하는 비행기 안에서
뒷자리에 앉은 한국 아저씨와 청년의 매춘 노하우를 엿들은 적이 있음

어디어디 클럽은 EDM밖에 안튼다, 어느동네 여자애들은 넘 비싸게 부른다,
아속 어디골목에 가면 불법 비아그라를 구입할 수 있는데 판매상들이 가격을 슬금슬금 올리고 있다 등등
계~~속 떡 관련 얘기만 하는데

일단 말투가 너무나 일상적임
진짜 그냥 비행기에서 처음 만난 타인들끼리 서로 존중하며 이야기하는 말투
그리고 바로 앞에 앉아있는 한녀가 1도 신경 안 쓰이는 듯한.. 어떤 무감각함이 되게 특이하게 다가왔음

그거 들으면서 이제 또 떠오른 기억이
예전에 안마방 자료조사 갔다가 카운터에 잠시 앉아있은 적이 있는데

일단 업소 코 앞에 보습학원 있음. 왕평범한 상가건물
손님들도 왕평범함. 조신하고 멀쩡하게 생긴 신도시 뿔테 아저씨들이 약지에 반지끼고 조신하게 섹스할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그 장면이.. 뭔가 너무나 한국스럽다고 느꼈음

아가씨 오는 동안 직원은 지연씨가 좀 늦는데 그 동안 커피 한잔 하시겠어요? 남자에게 묻고
남자는 아 예, 감사합니다 예의바르게 인사하고 

근데 이렇게 다 아무렇지도 않은 척 하고 있지만 사실 매춘업계라는게 상당한 잔인성이 존재하는 업계란 말임 
몸 파는 여자들이 왜 그렇게 자살을 많이 하겠음

살만큼 사는 나라에서 매춘이라는 하드코어한 불법 산업이 왜 이렇게까지 보편적이 되었나,
이 주제 이게 웃긴게

남초에서는 돈에 환장한 한녀들이 돈만 쥐어주면 다리를 쫙쫙 벌려대서 그렇다
여초에서는 대가리에 정액만 찬 한남들이 쉬운 섹스에 환장해서 그렇다 

이러고 있던데 두 의견 모두 너무나 감정적이라 본질적인 답은 못 되는거 같고
그리고 모든 현상에는 다 사회문화적 요인이 존재하기 마련이잖음

그래서 지선생한테 물어봄
군대 얘기 나오지 않을까 싶었는데 역시나 객관적 시각을 제시해 주시는 지선생님
일본도 무사 문화권의 잔재가 지금의 매춘산업으로 자리잡았다고 생각함 

 

---

 

좋은 질문이야. 한국에서 성매매가 일반적인 사회 현상처럼 자리 잡은 데에는 여러 층위의 역사적·사회적·문화적 요인이 얽혀 있어. 몇 가지 주요한 배경을 정리해볼게:

1. 역사적 배경

군사문화와 전쟁 후 구조: 한국전쟁 이후 미군 기지 주변에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국가 차원에서 사실상 성매매를 묵인·관리하는 구조가 있었음. “달러 벌이”라는 논리로 외화 획득 수단으로도 여겨졌지.

급속한 산업화 과정: 1960~8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로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한 여성들의 일자리 부족이 심했고, 성매매는 여성들이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손쉬운 진입 산업’으로 자리 잡음.

2. 사회·경제적 요인

남성 중심적 사회구조: 장시간 노동과 회식 문화, 군대 문화가 결합하면서 남성들 사이에서 ‘성매매=스트레스 해소, 친목의 일부’라는 왜곡된 관습이 생김.

경제적 불평등: 여성의 경제적 자립이 제한되던 시기에 성매매는 상대적으로 빠른 현금 수입을 보장하는 수단이었음. 지금도 취약계층 여성들에게는 현실적인 생존 전략이 되기도 함.

거대한 시장 규모: 한때 추정치로 연간 수십조 원에 이르는 성매매 산업이 존재했는데, 이처럼 시장이 크면 사회적 저항이나 금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쉽게 사라지지 않음.

3. 문화적·관습적 요인

회식과 유흥문화: 술자리 이후 2차, 3차 문화 속에서 유흥업소·성매매가 ‘당연한’ 선택지처럼 끼어 있음.

성에 대한 이중적 태도: 공적으로는 성을 금기시하면서 사적으로는 성매매를 용인하는 모순된 문화가 강하게 작동했음.

“남자는 원래 그렇다”는 통념: 남성의 성욕은 통제 불가능하고, 여성의 역할은 그것을 ‘받아주는 것’이라는 전통적인 성 역할 인식이 성매매를 정당화하는 데 기여했음.

4. 법과 제도의 한계

반복되는 단속과 묵인: 성매매 특별법 등으로 법적 규제가 있지만, 단속은 일시적이고, 경찰이나 지자체의 묵인·유착 구조가 이어지면서 실효성이 떨어짐.

제도적 성교육 부재: 성을 ‘위험’이나 ‘부끄러움’으로만 가르치는 경향이 강해, 건강한 성문화가 자리잡기 어려움.

정리하자면, 한국에서 성매매가 일반적인 현상이 된 건 단순히 ‘사람들이 원해서’가 아니라, 
전쟁과 군사문화, 남성 중심 사회구조, 유흥과 회식 문화, 경제적 불평등, 제도의 모순이 얽혀 만들어진 결과야.

---

 

그리고 저 3번 여자가 받아줘야지!
요 킹받는 entitled함이 만연하게 된데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하나 덧붙이자면 

https://digthehole.com/5275

 

하녀같은 엄마 이대로는 안된다

며칠 전 애엄마가 오른손에 아이스크림과 킥보드를 쥐고, 왼손에 좀 더 작은 킥보드를 쥐고 힘겹게 언덕을 올라가고 있는 모습을 보았음앞에는 초등학생으로 보이는 꽤 큰 아들들이 아

digtheho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