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시절엔 한국소설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습니다 당시 집에 있는 한국 소설들이란 주로 아리랑 태백산맥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류의 역사소설 아니면 난쏘공 토지 등의 근대문학들이였는데 거기서 풍겨나오는 진지하고 우울하고 꿉꿉한 삶의 냄새란 90년대를 살아가는 초딩이 감당하기엔 힘든 것이였지요 그러던 와중 엄마가 백화점 문화센터에서 빌려온 상실의 시대는 어찌나 술술 잘 읽히던지(게다가 야한장면까지있음) 하루키는 훗날 수필집을 냄비 받침으로 쓰기 시작하면서부터 읽지 않게 되었으나 아무튼 저에게 'Lightheartedness' 'care free'의 미덕을 가르쳐 주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무언가 거슬리는 점은 남아있었는데요 그것은 아마 소설 전반에 흐르는 그 '후까시'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이쁘..